예술방

최제우의 한 가르침

서동철 2010. 10. 23. 01:55

崔濟愚(1824-1864)의 龍潭遺詞에 실려 있는 安心歌 1 절의 마지막 부분이다: 

"이러저러 지내나니 遽然四十 되었더라 
四十平生 이뿐인가 無可奈라 할길없네 
可憐하다 우리父親 龜尾山亭 지을때에 
날주려고 지었던가 할길없어 無可奈라 
天不生無祿之人이라 이말이 그말인가 
곰곰히 생각하니 이도亦是 天定일네 
한울님이 定하시니 反受其殃 무섭더라
" 


우선 無可奈가 두 번씩이나 등장한다. 어찌할 수가 없음을 강조하고자 함을 엿볼 수 있다. 팔자 노릇이란 말이다. 

위 인용구 바로 앞의 두 행들을 첨가한다: 

"우리라 무슨八字 苦盡甘來 없을소냐 
興盡悲來 무섭더라 恨歎말고 지내보세
" 


정형시다. 그럴수록 끝에서 세 번째 행의 파격이 인상적이다. 내용도 아울러서 말이다. 하늘은 녹없이 사람을 내지 않는다 한다. 즉 모든 사람이 어떻게든 먹고 살게끔 하신다는 말이다. 그러니 불평불만 말고 하늘이 정한 일이라 여기고 묵묵히 받아들이라, 자신도 그렇게 받아들였다 하는 얘기다. 반수기앙, 즉 그 天定을 거역할 시 받을 재앙이 도리어 더 무섭지 않은가 한다. 

최제우는 위로의 말을 먼저 던졌으니 이리 강하게 나오는 듯도 싶다 - 苦盡甘來 興盡悲來라 하지 않았던가? 

安 心 歌 라 ...

'예술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김소월  (0) 2010.10.23
김수영과의 만남  (0) 2010.10.23
"피 카 소, 공산주의자"   (0) 2010.10.20
Goya(1746-1828) - 어두움의 화가   (0) 2010.10.20
신중현 (1938 - )   (0) 2010.10.19